★ 신뢰성
-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얼마나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는가
- 서버로서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을 운영체제가 얼마나 신뢰성 있게 제공하느냐
★ 리눅스의 신뢰성
- 리눅스에서는 RAID 0, 1, 5 메커니즘을 제공 : 소프트웨어적으로 서비스함
: 하드웨어적으로도 가능
- RAID 0
: 데이터를 여러개의 물리적인 저장 장치에 분산시켜서 저장
: 데이터를 찾거나 읽을 때 그 속도를 바르게 하는 목적
- RAID1
: 똑같은 내용을 여러번 서로 다른 장소에 나누어 저장
: 한쪽의 데이터 손실 시 다른쪽의 데이터로 복구
- RAID 4, 5
: 여러개의 드라이브에 패리티 정보를 저장
: 장애시 데이터 복구에 사용
→ 대용량자료 취급·처리에 유용
저가의 하드디스크를 묶어 RAID 기능 사용 : 하나의 장치처럼 대용량 자료 저장 FTP 미러링 서비스
- 파일 시스템 상에서 자체 내의 복구 기능 → EXT2, EXT3 (일반적인 에러 복구율이 높음)
- 시스템모드와 사용자 모드를 명확히 구분
: 응용 프로그램의 작동을 수시로 감시
: 커널 시스템 영역에 함부로 접근 x
: 커널이 응용 프로그램 오작동을 즉시 감지하며 수행을 중단시킴
→ 현재 수행되고 있는 다른 서비스에 대해 보호 작동을 함
★ 사용성 및 관리성
- 다양한 형태의 GUI를 지원
: ex) KDE, GNOME 환경
: KED : Microsoft Windows GUI와 유사, 강력하면서 쉬운 인터페이스
- 오효율 설정 방식을 지원
: ex) 원격제공하는 webmin, telnet로그인 기법 linuxconf
: X Window를 통한 그래픽 방식의 동일한 설정방법 제공
'Working > Operation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의 개요 (0) | 2025.02.20 |
---|---|
[Linux] 국내 리눅스 배보판과 국외 리눅스 배포판 (0) | 2025.02.20 |
[Linux] Directory 종류와 특징 (0) | 2025.02.20 |
[Linux] 개발환경 및 특징 (0) | 2025.02.20 |